Notice
Recent Posts
Recent Comments
Link
«   2025/05   »
1 2 3
4 5 6 7 8 9 10
11 12 13 14 15 16 17
18 19 20 21 22 23 24
25 26 27 28 29 30 31
Tags
more
Archives
Today
Total
관리 메뉴

kyh코딩 공부 블로그

CentOS에서 Tomcat 설치 본문

가상서버

CentOS에서 Tomcat 설치

킴용현 2023. 3. 14. 10:55

jdk를 설치했으면 tomcat을 설치할 차례이다.

 

wget가 안 깔려있으면 설치를 해주고

yum install wget

톰캣 홈페이지에 가면 자신이 받고 싶은 버전을 찾아서 tar.gz파일을 링크 복사해오면 된다.

wget http://archive.apache.org/dist/tomcat/tomcat-8/v8.5.27/bin/apache-tomcat-8.5.27.tar.gz

설치가 완료되면 압축을 해제 해준다.

 tar zxvf apache-tomcat-8.5.27.tar.gz

압축을 해제하고 mv를 이용해서 압축 푼 파일을 자신이 지정할 위치로 이동시킨다.

mv apache-tomcat-8.5.27 /home/kyh/tomcat

환경변수를 등록해준다.

vi /etc/profile

제일 하단에 자신에 경로에 맞게 설정을 해준다

CATALINA_HOME=/home/kyh/tomcat
CLASSPATH=$JAVA_HOME/jre/lib:$JAVA_HOME/lib/tools.jar:$CATALINA_HOME/lib-jsp-api.jar:$CATALINA_HOME/lib/servlet-api.jar
PATH=$PATH:$JAVA_HOME/bin:/bin:/sbin
export JAVA_HOME PATH CLASSPATH CATALINA_HOME

설정후에 입력해주고

source /etc/profile

vi /home/kyh/tomcat/conf/server.xml

server.xml에 들어가보 포트가 8080으로 지정되어있기 때문에 방화벽에 8080포트를 추가해준다.

//방화벽 포트 추가
firewall-cmd --permanent --zone=public --add-port=8080/tcp

포트 추가하고 리로드를 해준다.

//방화벽 리로드
firewall-cmd --reload

톰캣 실행

/home/kyh/tomcat/bin/startup.sh 를 입력하면 실행이된다.

 

systemctl에 등록하기

vi /etc/systemd/system/tomcat8.service 를 입력해서 파일을 하나 만들어준다. 이름은 마음대로 만들어도 상관없다.

 

파일에 이렇게 입력을 해준다.

[Unit]
Description=Apache Tomcat Web Application Container
After=syslog.target network.target

[Service]
Type=forking

Environment="JAVA_HOME=/usr/lib/jvm/java-1.8.0-openjdk-1.8.0.362.b08-1.el7_9.x86_64"
Environment="CATALINA_HOME=/home/kyh/tomcat"
Environment="CATALINA_BASE=/home/kyh/tomcat"
Environment="CATALINA_OPTS=-Xms512M -Xmx1024M -server -XX:+UseParallelGC"
Environment="JAVA_OPTS=-Djava.security.egd=file:///dev/urandom"

ExecStart=/home/kyh/tomcat/bin/startup.sh
ExecStop=/home/kyh/tomcat/bin/shutdown.sh

User=root
Group=root
UMask=0007
RestartSec=10
Restart=always

[Install]
WantedBy=multi-user.target
~

 

리로드 해주고

systemctl daemon-reload

enable 설정해주고

systemctl enable tomcat8

톰캣을 실행해준다.

systemctl start tomcat8

서버 구동시에 톰캣 실행 시켜주는 부분이다.

systemctl enable tomcat8.service

 

'가상서버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tomcat 실행 경로 이동  (0) 2023.03.17
서버 tomcat에 프로젝트 올리기  (2) 2023.03.14
centOS 7 nginx설치 방법  (0) 2023.03.14
CentOS에서 Tomcat 설치 jdk설치  (0) 2023.03.14
virtualBox centOS 7 설치 방법  (0) 2023.03.14